
사회적 능력이란 타인과 어울리는 개인의 능력을 말합니다. 아래의 체크리스트는 교사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제작되었습니다. 이 체크리스트는 바람직한 사회적 행동을 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, 교사가 사회적 능력이 이제 형성되고 있는. 아이들을 관찰하고, 이해하고, 지지하는데 돕기 위한 것입니다. 체크리스트에 나오는 대부분의 특성에 해당되는 아이는 때로 마주칠 수 있는 어려움을 극복할 때 특별한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것입니다. 하지만 아래의 항목에 해당 사항이 적다면, 성인의 지도를 통해 타인과 더욱 만족스러운 관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.
I. 개인적 특성
- 대개 밝고 긍정적이다.
-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대체로 즐겁게 간다.
- 타인의 거절이나 실망스러운 일에 적절히 대처하는 편이다.
- 다른 사람에게 관심을 보인다.
- 공감하는 능력을 보인다.
- 유머 감각이 있다.
- 지나치게 외로움을 타지는 않는다.
II. 사회적 기술
- 다른 아이들과 미소, 손 흔들기, 고개 끄덕임과 같은 비언어적 방법으로 소통한다.
- 타인에게 접근할 때 긍정적 반응을 기대한다.
- 바라는 것이나 좋아하는 것을 명확하게 표현한다. 자신의 행동이나 생각에 대하여 그 이유를 제시한다.
- 자신의 권리와 요구를 적절히 주장한다.
- 괴롭힘에 쉽게 겁먹지 않는다.
- 심각한 다툼이나 남을 해치는 일이 없이 자신의 불만이나 화를 효과적으로 표현한다.
- 다른 아이들이 하고 있는 놀이 혹은 활동 중간에 들어가서 어울려 함께 한다.
- 진행 중인 토의에 원만히 참여한다. 진행되는 활동에서 자기 역할을 적절히 한다.
- 자기 순서를 잘 기다린다.
- 원만한 관계의 친구가 한두 명 있다. 친구를 진정으로 위하고 그 친구가 결석을 했을 때는 보고 싶어한다.
- 친구와 정보와 피드백 또는 물건을 서로 “주고 받기” 한다.
- 타인과 적절히 타협하고 절충한다.
- 한 명 또는 그 이상의 친구와 교우관계를 유지할 수 있으며 다툼 이후에도 그러하다.
- 부적절한 방식으로 주의를 끌려고 하지 않는다.
- 장애를 가진 또래나 성인에 거부감이 없으며 함께하기를 좋아한다.
- 자신과는 다른 인종집단의 또래와 성인에게 거부감이 없으며 함께하기를 좋아한다.
III. 또래와의 관계
- 다른 또래가 무시하거나 거부하지 않고 잘 받아들인다.
- 또래들이 무서워하거나 회피하지 않고 또래들로부터 존중 받는다.
- 다른 또래로부터 종종 놀이나 친구관계 혹은 활동을 함께 하자는 초대를 받는다.
- 또래에게 같이 놀이하거나 활동하기 좋은 친구로 손꼽힌다.
IV. 성인과의 관계
- 성인에게 과도하게 의존하지 않는다.
- 처음 보는 성인에게 극도의 불안을 느끼거나 무분별한 접근을 하지 않고 적절한 반응을보인다.
Reference
Adapted from Assessing Young Children’s Social Competence by Diane E. McClellan and Lilian G. Katz. Champaign, IL: ERIC Clearinghouse on Elementar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.